현충로

현충로

[ 顯忠路 ]

요약 서울특별시 동작구 본동 10-23번지(한강대교 남단)에서 동작동 130번지(동작대교 남단)에 이르는 가로(街路)로 길이 2.5㎞, 너비 35∼40m의 왕복8차선이다. 도로명은 국립묘지인 극립현충원을 지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요 통과 지역은 동작구 본동·흑석동·동작동이다.

길이 2.5㎞, 너비 35∼40m, 왕복8차선이다. 1966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가 시내 46개 도로에 대한 가로명을 정할 때 동작로가 되었다. 당시 기점은 였으며 그 뒤 종점이 연장되어 강남대로와 교차하는 강남구 서초동 64번지까지의 길이 6.8㎞로 조정되었다.

1984년 11월 7일 교통 흐름을 감안하여 를 중심으로 이수교에서 역삼동까지의 길이 3.8㎞를 로 나누어 구간을 세분하였다. 도로명은 국립묘지인 극립현충원을 지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요 통과 지역은 본동·흑석동·동작동이다. 한강변을 따라 와 나란히 달리고 기점인 한강대교 남단에서 과 이어지며 남단에서 동작대로와 연결되고, 이수교차로에서는 ·사평로와 연결된다.

문화재로는 조선 가 수원 현륭원에 갈 때 노들강[漢江]에 배다리[舟橋]를 놓고 건넌 다음 잠시 쉬었다는 용양봉저정(서울유형문화재 6)과 흑석2동에 조선 의 증손 완성군(莞城君)의 묘를 비롯하여 국립현충원 안에 창빈안씨신도비부묘소(서울유형문화재 54)가 있으며, 1983년 를 개칭한 호국지장사 경내에 지장사철불좌상(서울유형문화재 75)이 있다.

기점 부근에 노량진수원지가 있고, 서달산 정상에는 1920년 일본인이 만든 명수대라는 별장이 있었는데 8·15 광복 후 철거되어 지금은 고층 아파트가 들어섰다. 주변에 중앙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중·고등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중앙대학교 메디칼센터, 원불교서울회관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