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화의 척도

근대화의 척도

근대화의 척도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지적되고 있다. ① 봉건적 토지소유관계(封建的土地所有關係)의 일소(一掃)와 신분적 및 공동적 의식의 해소, ② 산업에서의 기계화와 공장제 생산, ③ 국민의 의 보급, ④ 대중매체의 광범위한 보급, ⑤ 시민적 자유의 확립과 대중의 정치참여(사회참여), ⑥ 고도의 도시화, ⑦ 각종 기능집단의 분출과 사회조직의 복잡화, ⑧ 개인주의의 성숙 등이다.

근대화 정도는 이상의 여러 가지 척도를 가지고 종합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다만, 경제면의 근대화가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공업화가 근대화의 선결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경제의 근대화가 이루어지면,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그 파급 효과는 사회구성원 전체의 사고방식에까지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의식면에 있어서의 의 각성 ·개인주의의 성숙, 즉 정신의 근대화가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