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내길

모래내길

요약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158-33번지(의주로)에서 마포구 성산동 350번지(성산1교)에 이르는 길이 4.9㎞, 너비 15∼25m의 왕복 4차선 가로이다. 도로와 나란히 흐르는 모래내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주요 통과 지역은 서대문구 홍제동·연희동·홍은동·남가좌동, 마포구 성산동이다.
모래내길

모래내길

길이 4.9㎞, 너비 15∼25m, 왕복 4차선이다. 1981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 공고 제14호에 의해 남가좌동 102번지 사천교에서 백련교와 홍제1동을 지나 홍은동 217번지 의주로 교차 지점에 이르는 길이 3.5㎞, 너비 15∼25m의 도로를 홍남로(弘南路)라 하고, 1981년 10월 22일 대로 3류 97호라 한 뒤 1984년 11월 7일 기점과 종점을 반대로 조정하고 도로명도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월드컵 주경기장 주변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1999년 11월 22일 서울특별시 지명위원회의 심의 결과 서대문구 남가좌동 102-4번지(사천교)에서 성산동 350번지(성산1교)에 이르는 구간이 추가되어 오늘에 이른다. 도로와 나란히 흐르는 모래내에서 이름이 유래했는데, 모래내는 세검정의 맑은 물이 이곳에 들어오면 모래가 많은 탓에 늘 모래 밑에 스며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요 통과 지역은 서대문구 홍제동·연희동·홍은동·남가좌동, 마포구 성산동이다. 의주로·연희로·가좌로·증가로·수색로·합정로·난지도길·상암도길과 연결·교차하고, 성산로와 연결된다. 내부순환로가 도로 위를 지나고, 지하철 3·6호선이 지나며 가좌역이 있다. 성산2교를 통해 서교로와 이어지고, 성산1교를 통해 합정로 및 성산로와 이어져 를 건넌 뒤 남부순환로와 이어진다. 연가교와 흥남교를 통해서는 연희동과 남가좌동으로 이어진다.

연희동과 남가좌동을 나누는 행정구역의 경계선이 되며, 연희동과 경계가 되는 홍제천(사천)의 교량 중에서 교통량이 많은 곳은 홍제동과 홍은동을 잇는 홍제교와 남동쪽에 놓인 사천교(沙川橋)이다. 보통 모래내라고 하면 이 지역을 말하는데, 사천교는 모래내길과 성산로, 또는 수색로와 모래내길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증가로와 거북골길 교차로 부근과 백련시장 및 모래내길 주변에는 상가가 형성되어 있고, 주택이 밀집된 신시가지를 이루고 있다. 도로 가까이 명지대학교와 명지실업전문학교가 있고, 명지대학교 안에는 문화재로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서울유형문화재 91)가 있다. 가좌동 지역에는 조선시대에 군사들의 무예를 시험하던 의 장막(帳幕)이 있었다.

그밖에 서울시립서대문도서관·서대문구재활용센터·서대문구청 및 서대문구 문화회관 및 체육센터 등의 공공기관과 고은·홍연·망원 초등학교, 신연·성사 중학교 등의 교육기관, 백련시장·모래내시장·홍제시장 등의 재래시장이 있다.

참조항목

, , , , , , , ,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