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1로

동1로

[ 東一路 ]

요약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동 117-5번지에서 의정부 시계에 이르는 가로로 길이 10.2㎞, 너비 35m이다. 9.31㎞ 구간은 왕복 6차선이고, 890m 구간은 왕복 8차선이다. 망우로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동부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른 뒤 의정부 시계에 이르는 간선도로로서, 남쪽으로 동2로와 곧바로 연결된다.
동1로

동1로

길이 10.2㎞, 너비 35m이다. 9.31㎞ 구간은 왕복 6차선이고, 890m 구간은 왕복 8차선이다. 망우로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동부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른 뒤 의정부 시계에 이르는 간선도로로서, 남쪽으로 동2로와 곧바로 연결된다. 도로 종점 부근에는 수락산자연공원이 있어 주거지역으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가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일을 맞아 시내 59개의 이름없는 가로에 이름을 붙일 때 생긴 가로명이다. 원래 도로 종점은 도봉로와 교차하는 도봉동 89번지였으나, 1998년 지하철 7호선 수락산역에서 도봉로까지의 구간 900m가 제외되었다.

망우로를 통해 중화동과 동대문구 휘경동으로 연결되고, 이화교를 통해 중랑구 중화동과 동대문구 이문동, 월릉교를 통해 동대문구 석관동과 월계동, 한천교를 통해 공릉동과 월계동, 월계1교를 통해 하계동과 월계동, 녹천교·창동교를 통해 상계동과 도봉구 창동, 상계교를 통해 상계동과 방학동, 노원교를 통해 상계동과 도봉동이 이어진다. 주요 통과 지역은 중랑구 중화동·묵동, 노원구 공릉동·하계동·중계동·상계동, 도봉구 도봉동이다.

중랑천을 따라 동부간선도로와 나란히 달려 노원구와 중랑구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화랑로·월계로·상계로·수락산길과 연결·교차한다. 지하철 7호선이 도로를 따라 지나고, 과 지하철 4호선이 가로질러 지나간다.

도로 주변에는 노원중학교·서울체육고등학교·용화여자고등학교·태릉직업학교·경기기계전문대학·한국성서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고, 중랑경찰서, 동부지점, 노원구청, 창동차량기지, 도봉운전면허시험장 도봉교육장 등의 공공기관과 을지병원·상계백병원·동부적십자혈액원 등의 의료기관, 중계도서관·유토아극장 등의 문화공간이 있다.

그밖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가까이에 하계공원·중계근린공원·등나무근린공원·달맞이공원·당고개근린공원·원터근린공원 등 주민들의 휴식공간과 한신코아백화점·건영옴니백화점·한국까르푸·2001아울렛 등의 쇼핑시설이 있다.

참조항목

, , , , , , ,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