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지

바라지

요약 온갖 일을 돌보아 주는 일.

본래 순우리말로 온갖 일을 돌보아 주거나, 입을 것과 먹을 것 따위를 대어 주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수발과 같은 말이다. 순 우리말이 불교에 수용되어, 절에서 을 위하여 시식(施食)할 때 문(經文)을 받아 읽거나 시식을 거들어 주는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다.

보통 절에서 영산재는 법주(法主)와 바라지가 함께 진행하는데, 법주가 먼저 경을 읽으면 바라지가 그 다음 송구를 받아 읽는다. 을 진행할 때 여러 사물을 다루고, 와 소리의 맥을 이어주는 역할이 주된 임무이다. 그래서 재의식에는 법주와 바라지가 바늘과 실처럼 어울린다. 보통 법주가 선배이나 바라지도 법주 못지않게 에 능해야 하고 음성 도구인 태징과 ·도 잘 다루어야 한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