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봉사

용봉사

[ 龍鳳寺 ]

요약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용봉산(龍鳳山)에 있는 사찰.
용봉사 부도

용봉사 부도

종파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7세기
소재지 충남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절의 연혁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전하는 유물로 보아 백제 말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까지는 수덕사에 버금가는 큰 절이었으나 1906년 평양조(趙)씨 가문에서 절을 부수고 절터에 공조을 지낸 (趙羲純)의 묘를 썼다. 이 때 마을 주민들이 현재의 위치로 절을 옮겼다. 1980년에 을 중수하고, 1982년 을 새로 지었으며 1998년에 과 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로는 대웅전·극락전·산신각·적묵당·일주문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건물로 내부에 1689년(조선 15)에 제작된 아미타삼존불과 후불 등 5점의 탱화가 모셔져 있다. 유물로는 마애불 2위와 괘불·부도·석조 등이 전하는데, 문화재로 지정된 것들이 많아 대찰의 면모를 보여 준다. 로는 홍성신경리마애석불(제355호)과 용봉사영산회괘불탱(제1262호)이 있다.

용봉사마애불은 799년(신라 1)에 조성된 높이 2.3m의 으로 1985년 충청남도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용봉사지석조와 용봉사부도는 각각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62호와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맷돌과 석조는 옛 절터에 남아 있으나 부도는 1910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 내 건양각(乾陽閣)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은 본래 이 절에 있던 유물인데, 에 일본인이 지금의 위치로 옮겨놓았다. 불상에는 본래 용문대석(龍紋臺石)이 있었으나 인근에서 다리를 공사할 때 사용했다고 한다. 그밖에 홍성여자고등학교 정원에도 이 절에 있던 삼층석탑이 옮겨져 있다.

참조항목

, , ,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