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터드

머스터드

[ mustard ]

요약 겨자의 열매나 씨로 만들어 매운 맛이 나는 향신료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현재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은 브라운 머스터드가 차지하고 있고, 개어놓은 상태로 많이 판매된다. 겨자, 통후추 부순 것, 간장, 마늘, 올리브유, 적포도주, 소금, 후추를 넣고 잘 섞어 차가운 고기나 소시지·샐러드·샌드위치에 드레싱으로 사용한다. 허브와 백포도주를 섞어 톡 쏘는 맛이 나면서 끝맛이 부드러운 디종 머스터드는 고급 드레싱용 프렌치 머스터드이다.
디종 머스터드

디종 머스터드

원료 열매, 씨
용도 육류요리, 달걀요리, 소스, 샐러드 등
특징 톡 쏘는 매운 맛
주산지 서유럽, 미국, 인도·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에티오피아 등

머스터드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현재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은 브라운 머스터드가 차지하고 있고 개어놓은 상태로 많이 판매된다. 겨자, 통후추 부순 것, 간장, 마늘, 올리브유, 적포도주, 소금, 후추를 넣고 잘 섞어 차가운 고기나 소시지··에 드레싱으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흑겨자로 만들어 향이 짙은 것은 독일풍 조제 머스터드라 하고, 백겨자로 만들어 매운맛을 내는 것은 영국풍 조제 머스터드라고 한다. 허브와 백포도주를 섞어 톡 쏘는 맛이 나면서 끝맛이 부드러운 디종 머스터드는 고급 드레싱용 프렌치 머스터드이다.

옛날부터 약용 또는 로 쓰였고, 중세 유럽에서는 서민들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향신료였다. 옛날에는 분말상태의 머스터드를 막 짜낸 포도즙이나 마스트에 개어서 썼으나 지금은 찬물에 개어 쓴다. 따뜻한 물에 개면 매운 맛이 없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찬물에 개어 써야 한다. 고기요리, 달걀요리, 핫도그, 샌드위치, 치즈, 마요네즈, 각종 소스, 비네가 드레싱, 등에 폭넓게 쓰인다.

씨에서 추출한 정유는 수세기 전부터 진통제, 이뇨제, 구토제나 류머티스 등의 치료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소염작용이 있기 때문에 습포로 만들어 기관지염이나 관절염이 있는 부분에 놓아두면 효과가 있고, 가벼운 동상, 두통, 감기 증상를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 이 때 찜질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찬물을 사용해야 한다. 단, 머스터드는 자극이 강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원산지는 중동, 인도, 중국, 스리랑카, 지중해 연안이고, 주산지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덴마크, 에티오피아, 인도,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서부, 아르헨티나, 칠레 등 세계 각지이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