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동

평동

[ Pyeong-dong , 平洞 ]

요약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동.
위치 광주 광산구
면적(㎢) 29.09㎢
문화재 청자도공(광주무형문화재 5), 명화동 장고분(광주기념물 22)
인구(명) 4261명(2008)

면적 29.09㎢, 인구 4261명(2008)이다. 광산구에 속한 동이다. 광산구 가운데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에는 삼도동, 북쪽에는 어룡동과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송정동·도산동과 이웃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동곡동 및 전라남도 나주시와 마주하고 있다. 옥동마을·옥연마을·원두마을·천하마을·월전마을·춘전마을·장록마을·송촌마을·지로마을·영천마을·용동마을·용곡마을·기곡마을·봉정마을·평지마을·명화마을·동산마을·학연마을·금연마을·두산마을이 있다.

이전에는 이 동을 중심으로 노안면과 삼도동 등의 지역에 부운국(不雲國)이라는 군장사회가 형성되었다. 369년 가 건국되고 387년 동안 백제와 공존하다가 백제에 병합되어 무진군(武珍郡:지금의 光州)의 영현(領縣)인 고마산현(古麻山縣) 또는 복룡현(伏龍縣)이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무주도독부(武州都督府:광주)의 영현으로 용산현이 되고 후에 다시 복룡현으로 변경되었다. 1018년(현종 18) 복룡현이 나주목(羅州牧) 관할로 바뀌고 말에 이 지역은 복룡현의 평구부곡(平丘部曲)으로 분할되었다.

1409년(태종 9년) 부곡이 폐지되고 평동지역은 나주목 직촌인 관질동면(官叱洞面)과 평리면(平里面)으로 분할되었다가 1738년(영조 14년) 관동면과 평리면이 되었다. 1914년 2개 면을 합하여 나주군 평동면이 되었으며, 1949년 8월 14일 광산군 평동면으로 편입하였다. 1988년 1월 1일 광산군과 송정시가 광주직할시에 흡수되어 광산구 평동에 출장소가 개설되었으며, 1998월 10월 15일 출장소는 동사무소로 명칭이 바뀌었다.

인 이 동은 법정동인 옥동·장록동·지죽동·동산동·지정동·명화동·용곡동·연산동·송촌동·월전동·용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는 복룡산(227m)이 있으며, 물우게라고도 부르는 서쪽의 구릉지대는 수박·무·고추 등의 밭작물이 유명하고, 중앙부 및 동부·남부의 넓은 들판을 가로지르는 평동천과 황룡수로가 있어 좋은 농경지를 이루고 있다. 중부지역은 질 좋은 쌀과 1,000여 동의 비닐 하우스에서 경작되는 오이의 특산지이고, 남부지역의 구릉지대는 축산과 화훼작물 재배로 풍요한 농촌지대를 이루고 있다.

총면적 가운데 밭과 논이 59%를 차지하고 있으며, 5.2㎢의 평동공업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평동중학교·평동초등학교,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가 있다. 평동과 어룡동을 가르는 복룡산에 관한 전설은 어룡동에서는 용마바위전설이 전해내려오고, 평동에서는 후백제 견훤과 왕건의 싸움터 전설로 유명하다. 또한 잘 정비된 등산로, 약수터가 있으며, 주봉에 가까워질수록 수풀은 더욱 우거지고 주봉을 돌아 다른 등산로로 내려오다 보면 하늘을 덮은 빽빽한 시누대밭이 있다.

인간문화재 청자도공(광주무형문화재 5), 명화동 장고분(광주기념물 22), 복령현 관아터, 옥연동 삼층석탑재, 월전동 원두마을 입석 등 문화 유적지가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