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혼불

요약 1930년대 전라북도 남원의 몰락해 가는 양반가의 며느리 3대(代) 이야기를 다룬 최명희(崔明姬)의 대하소설.
저자 최명희
장르 대하소설
발표년도 1996년 12월 전10권 완간
수상 단재상, 세종문화상, 여성동아 대상, 호암상 예술상

1980년 에 단편 《쓰러지는 빛》이 당선된 직후부터 쓰기 시작해 이듬해 창간 60주년기념 2000만 원 고료 공모에 《혼불》 제1부가 당선되었고,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월간 《》에 제2∼5부를 연재한 뒤 1996년 17년 만에 전10권(5부)으로 완간된 최명희의 작품이다.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의 로, 1930년대 남원의 몰락해 가는 한 가의 며느리 3대 이야기를 통해 당시의 힘겨웠던 삶의 모습과 보편적인 인간의 정신세계를 탁월하게 그려냈다.

특히 ‘우리가 인간의 본원적 고향으로 돌아갔으면 한다’는 작가의 말이 고스란히 표출된 작품으로, 호남지방의 , 관혼상제, 노래, 음식 등을 생생한 우리 언어로 복원해내 ‘우리 풍속의 보고(寶庫), 모국어의 보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문학평론가 김열규는 ‘전통적인 소재, 적인 , 지역민속지적 기록, 그리고 가문사 등이 어울린 민족학적 서사물 또는 자연서사물’로, 소설가 이청준은 ‘찬란하도록 아름다운 소설’로, 유종호는 ‘일제 식민지의 외래문화를 거부하는 토착적인 서민생활 풍속사를 정확하고 아름답게 형상화한 작품’으로 평가하는 등 1990년대 한국문학사 최고의 걸작으로 꼽힌다.

작가 최명희는 이 《혼불》 완간 4개월을 앞두고 에 걸렸으나 주변에 알리지도 않은 채 오로지 집필에만 매달린 끝에 1996년 12월 완간, 2년 뒤인 1998년 12월에 죽었고, 이 작품으로 단재상 문학부문, 세종문화상, 여성동아 대상, 호암상 예술상 등을 받았다.

1997년 7월, 각계 인사들이 모여 작가 ‘최명희와 혼불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이 결성되었고, 1999년에는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노봉마을에 작가를 기리는 문학마을인 ‘혼불마을’이 조성되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