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과민증

치아과민증

[ dentin hypersensitivity , 齒牙過敏症 ]

요약 온도자극과 같은 외부자극에 민감하여 치아의 통증을 느끼는 증세.

상아질과민증·과민치아·시린치아라고도 한다. 치아가 병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온도자극과 같은 외부자극에 민감하여 환자가 아픔을 느끼는 증세이다. 칫솔질이나 기계적인 자극에 시큰거리고 찬물을 마실 때 몹시 저린 느낌이 있다. 그 원인은 치아 주위의 의 퇴축으로 뼈 속에 있어야 할 치아 뿌리가 밖으로 노출되어 자극에 대해 예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상아질은 가느다란 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극이 신경으로 쉽게 전달되어 평상시보다 민감하게 느껴진다. 칫솔질을 옆으로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치아가 깎여서 상아질이 노출되어 찬물 등에 몹시 민감하게 된다. 그밖에도 제거를 위해 치아를 깎는 경우, 잇몸이 좋지 않아 이 드러나 치근의 상아질이 노출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 잇몸을 치료한 뒤에 이 증세가 나타나는 잇몸치료 때문에 부어 있던 잇몸이 가라앉으며 치근이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충치로 인하여 썩은 부분을 파내고 금속으로 충전하거나 치아를 깎아서 씌웠을 때에도 이 같은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그 증세는 초기에는 환자가 찬물을 제대로 마실 수도 없을 만큼 민감하지만 찬물과 같은 자극이 사라지면 통증도 함께 사라져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온다. 다른 온도자극이나 찬 바람, 치아표면을 긁었을 때에도 심한 자극이 나타난다. 많은 환자들이 양치를 할 수 없다고 호소하고, 겨울철에는 찬바람을 쏘인 경우에는 치아가 시리고 아픈 증세를 호소하며, 여름철에는 찬 것을 마시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 증세는 차츰 강도가 약해지고 사라지게 된다. 치아의 에서 노출된 상아질의 가는 관은 장기간에 걸쳐 과 같은 물질로 석회화해 막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세가 심하거나 계속되면 치아에 염증이 생겨서 등의 증세가 나타나게 되어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

치료는 자극을 줄여 과민증이 자연적으로 사라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치료보조제로 시린치아에 사용되는 치약은 일반적으로 40∼50%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치약 3∼4개를 사용하여도 효과가 없으면 그 방법으로는 치유되지 않는다. 치아가 심하게 팬 경우에는 레진(resin)과 같은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여 노출된 상아질을 막아주는 방법도 있다. 또 치근 등의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에는 불소나 다른 용액을 도포하여 시린 증세를 줄여 주는 방법도 있지만 시린 증세를 완전하게 제거하지는 못한다. 만약 시린 정도를 넘어서 아프거나 찬물을 삼키고 난 뒤에도 한참동안 아픈 경우에는 그 치아의 신경에까지 염증이 생긴 경우가 많으므로 신경치료를 하기도 한다.

치아과민증을 예방하려면 칫솔의 모가 너무 강한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옆으로만 양치질을 하지 말고 위아래로 닦는 올바른 칫솔질을 습관화해야 한다. 또한 찬물 등에 의하여 치아가 시릴 경우에는 한동안 찬 것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여 자극을 줄여서 치아 속에서 자연적으로 상아질의 가느다란 관이 막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