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진사

귀진사

[ 歸眞寺/歸進寺 ]

요약 황해북도 서흥군 송월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
지정번호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92호
소재지 황북 서흥군 송월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사찰유적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92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선이 마시던 샘물이 남아 있다고 전하는 숭덕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12세기 중엽에 성수사(星宿寺) 소속의 암자로 건립되었고 16세기 중엽 보우가 크게 확장·재건하였다.

주악루를 통하여 절마당에 들어서면 맞은편에 본전인 , 서쪽에 심검당이 자리잡고 있다. 이외에 칠성각, 향로전, 동선당, 서선당, 정광여래칠층사리탑이 있었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극락전은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정면 3칸(10.95m), 측면 3칸(7.35m)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안쏠림 기법으로 세운 에 두공은 안팎 9포이고 네 모서리 두공과 정면 가운데칸의 2개 두공, 양 옆칸의 가운데칸 쪽 두공 윗부분에는 각각 용머리를 새겨 넣었다. 내부의 바닥에는 널마루를 깔았고 뒷면 가운데 두 기둥 사이에는 과 연꽃무늬를 새긴 불단이 있으며 불단 위에는 13포의 이 달려 있다. 천장에는 소란반자와 빗반자를 대었고 그 네 구석에 용머리를 새겼으며 중장여 사이에는 날개를 활짝 편 6마리의 봉황을 조각하였다. 창호는 연꽃무늬·국화무늬·모란꽃무늬를 뚫어 새겼다. 기둥 위의 상인방 가운데에는 화려한 금으로 장식하고, 두공 사이의 벽에는 여러 가지 그림을 그렸다.

주악루는 정면 5칸(12.15m), 측면 2칸(7.65m)의 이익공 을 올린 제법 큰 문루이다. 정면에는 돌기둥을 세웠고 두공은 앞쪽이 단익공, 뒤쪽이 이익공이다. 정면에서 보면 누각이지만 절마당에서 보면 단층이다. 심검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 절에는 《용감수감(龍龕手鑑)》, 《법화경》, 《화엄경》, 《십지론》, 《수륙문》, 《42장경》, 《부모은중경》 등 불경 판목 2,000여 장이 보존되어 있었는데, 일부는 일제강점기에 잃어버리고 《용감수경》 등 남은 것을 묘향산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황해도향토지(黃海道鄕土誌)》에 이 절의 내력이 전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