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야어

오리야어

[ Oriya language ]

요약 인도 오디샤 주의 공용어이다.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의 인도아리아어에 속한다. ·아삼어·마이티리어 등과 함께 동부 그룹을 이루며 약 2,5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중기 인도아리아어의 마가디아파브람샤어에서 발달해 나왔으며, 가장 오래된 언어 형식은 옛 지명이나 990년의 비문에서 찾을 수 있다. 발달 단계는 고대 오리야어(990~1300년), 중기 오리야어 제1기(1300~1500년), 중기 오리야어 제2기(1500~1700년), 중기 오리야어 제3기(1700~1850년), 현대 오리야어(1850년 이후~현재)의 5단계로 나뉜다.

다른 아리아어에 비해 14세기 이후 변화가 많지 않았고, 차용 등 외국어로부터 받은 영향도 매우 적다. 차용 어휘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이며 그밖에 ···영어에서 빌려 온 어휘도 많다.

표준 오리야어는 카타크 지방의 형이 중심이 되어 발달한 것이다. 방언에는 서오리야·북오리야·남오리야의 3가지가 있는데, 이 중 서오리야방언의 세력이 강하다. 는 본디 벵골문자와 같은 계통이나, 남인도 드라비다계 문자형의 영향을 받아 여러 개의 고리를 조합한 형태가 발달하면서 표면적으로는 벵골문자와 상당히 다른 꼴을 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며 1·1, 자음문자와 모음 부가기호의 조합, 자음결합 등의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