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봉제

책봉제

[ 冊封制 ]

요약 중국 한(漢)나라 이래 중국의 전통적 이민족 지배방식.

한대 이래 중국의 이민족 국가에 대한 지배방식 중 하나인 책봉은 중국의 황제가 주변국가의 군장(君長)에게 특정한 관작(官爵)과 이에 상응하는 물품을 줌으로써 그의 자격과 지위를 부여하고 공인하여 신하로 복속시키는 양식이다. 즉 책봉은 중국이 주변제국의 군장에게 각각의 세력권에 대한 통치를 위임함으로써 그를 대표로 하는 외이(外夷) 집단을 간접적으로 지배하려는 제도적 장치이다. 그러므로 책봉은 중외국관계의 한 유형이며, 중국적 세계질서를 규정하는 제도적 양식 가운데 하나이다.

책봉관계는 주변국이 책봉을 요청하고, 중국이 책봉함으로써 성립된다. 주변제국이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조공이 선행되어야 한다. 책봉은 진호(進號)와 가호(加號) 및 추증(追贈) 등을 제외하면 동일인에 대하여 일회적 인 것이다. 주변국의 요청에 대하여 중국은 몇 가지 방법으로 책봉하였다.

책봉제 본문 이미지 1
조공조공중원왕조책봉책봉

첫째, 주변제국의 군이 내조(來朝)하였을 때, 그에게 직접 책봉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주변제국의 군왕이 친조(親朝)하는 예는 극히 드물고, 따라서 이러한 예도 아주 드물다.

둘째, 중국이 해당국가에 직접 사신을 파견하여 책봉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견 사신이 직접 책봉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사신이 직접 사신을 보내어 책봉할 경우 죽은 왕에 대한 조문 및 책증(策贈)과 함께 부물(賻物)이 전달되기도 했다. 남제가 백제에 책봉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셋째, 순부조서(順付詔書)의 형식이다. 책봉하기 위해 중국이 해당국가에 일일이 사절을 보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보다 쉬운 방법으로 이용된 것이 순부조서이다. 이러한 방법은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파견된 주변국가의 사신이 귀국할 때 그를 통하여 책봉조서와 자국왕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넷째, 책봉은 조공의 형식을 통한 요청을 전제로 하지만, 중국이 일방적으로 행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예는 주로 중국에서 새로운 왕조가 성립된 직후에 나타난다.

참조항목

중국

역참조항목

영은문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