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유방

출혈유방

[ 出血乳房 ]

요약 유두 분비물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것을 이르는 말.

유관의 확장이나 의 작용으로 때때로 담황색의 투명한 액체나 젖빛의 약간 탁한 액체의 형태로 에서 분비물이 나온다. 이 분비액에 이 섞여서 나오는 경우를 출혈유방이라고 하며, 여기에는 몇 가지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

가장 많은 원인은 유관(乳管) 속의 유두종(乳頭腫)이다. 일반적인 를 분비하는 유관 속의 유두종은 1∼3㎜의 작고 부드러운 덩어리로 3∼4㎜ 이상 커지지 않으면 겉으로 만져서는 구별하기도 힘들다. 유두종은 분비물이 생겨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물같이 맑거나 붉은 분비물이 유두의 한 구멍에서만 반복적으로 나온다. 유두에 가까운 일정 부위를 손끝으로 누르면 정해진 하나의 유관구에서 혈액이 섞인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다음으로 많은 것은 유선종인데, 유선에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18∼35세 여성에게 잘 생기는 질환이다. 섬유조직과 유관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자라 주위의 유방조직을 밀어내면서 서서히 커진다.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유방에 콩알만한 크기에서부터 감자 크기만한 응어리가 생긴다. 손가락으로 만져보면 잘 움직이고, 주위 조직과의 경계가 분명하고, 둥글고 단단한 고무 같은 촉감을 주며, 통증은 없는 편이지만 생리 전에는 잠시 아플 수도 있다.

세 번째의 원인은 유방암이다. 분비액 속의 를 검사하여 악성세포가 혼합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때로는 유관에 를 주입시켜서 촬영을 하여 어디에 원인이 있는지를 확인하기도 한다. 진단 결과 악성이 아닐 경우에는 혹만 제거하고 농양이 생긴 경우에는 절개하여 고름을 빼내는 치료를 한다. 출혈이 심할 때도 출혈하는 유관만 수술로 제거한다. 그러나 악성세포가 발견되면, 유방암과 같은 치료법을 시행한다. 유방암의 치료법에는 수술, 투여, 호르몬 요법, 치료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