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항우울제

[ antidepressants , 抗憂鬱劑 ]

요약 우울한 감정에 지배되는 억울감을 소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이다. 우울증, 조울증을 비롯하여 강박신경증, 공포증 등 신경증 치료에 쓰인다.

크게 삼환계 항우울제(TCAS), 선택적 재흡수억제제(SSRI), 저해제(MAO inhibitors) 등 3가지 종류가 있다. 현재는 이미프라민(imipramine),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등 삼환계 항우울제에 더하여 사환계인 것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더욱 새로운 화학구조를 갖는 약들을 사용한다.

삼환계 항우울제에는 3급 아민과 2급 아민이 있는데, 3급 아민 약물에는 아미트립틸린·클로이미프라민·독세핀(doxepine)·이미프라민·트라이미프라민(trimipramine) 등이 있고, 2급 아민 약물에는 아목사핀(amoxapine)·데시프라민(desipramine)·노르트라이프틸린(nortriptyline) 등이 있다. 그 작용기전은 아민계 이 신경말단으로 다시 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에서 신경으로부터 유리된 말단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dopamine) 등의 아민계 신경전달물질들이 신경말단으로 다시 도입하여 불활성화되는 것을 차단시켜 뇌에서의 생체 아민의 작용이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보통 3급 아민 약물들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도입 차단 효과가 있는 반면 도파민의 재도입 차단 효과는 거의 없고, 항성 작용(구강건조·시야장애·) 등 자율 및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킨다. 2급 아민 약물들은 비교적 노르에피네프린의 재도입 차단 효과가 강하고, 항콜린성 작용 등 작용이 3급 아민 약물보다 약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진정작용, 기립성 , 항콜린 작용, , 체증증가, 성기능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노인, 다른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심장병, , 간질 환자 등에게 투여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에는 플록세틴(fluoxetine), 파록세틴(paroxetine), 세트롤린 등이 있다. 그 작용기전은 선택적으로 세로토닌이 신경말단으로 재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삼환계 항우울제와 그 작용은 비슷하지만 세로토닌이 신경말단으로 다시 도입하여 불활성화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뇌에서 세로토닌의 작용이 강화된다. 또한 항콜린성 작용 등의 자율신경계 및 심혈관계 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 부작용으로는 오심, , , , 구강건조, 성기능 장애, 불안증 등과 진정작용, 항콜린 작용, 심혈관계 작용 등이 있다. 또한 체중증가나 체중감소 가능성도 있다.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제에는 유도체와 비하이드라진계 비선택성 저해제가 있다. 하이드라진 유도체에는 이프로니아지드(iproniazid)·페넬진(phenelzine)·아이소카복사자이드(isocarboxazide) 등이 있고, 비하이드라진계 비선택성 저해제에는 모클로베마이드(moclobemide)·톨록사톤(toloxatone) 등이 있다.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제는 모노아민을 산화시켜 불활성화시키는 분해효소이다.

기질 특이성에 따라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A형과 벤질라민(benzylamine)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B형으로 나눌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생체 아민들이 분해되어 불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뇌에서 생체 아민의 작용이 강화된다. 부작용으로 기립성 저혈압, 불면증, 성기능 장애, 체중증가, 진정작용, 항콜린 작용, 간질이 약하게 온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