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송승사략

대송승사략

[ 大宋僧史略 ]

요약 송(宋)의 찬영(贊寧:930∼1001)이 지은 불교서적.
구분 불교서적
저자 찬영
시대 978∼999년

불교 교단의 제도와 의례··(懺法) 등을 서술한 책으로 일종의 불교 교단사이다.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저자 찬녕(贊寧:930∼1001)이 978∼999년 사이에 지었고 모두 3권이다. 서문에 따르면 《홍명집(弘明集)》이나 《고승전》으로는 불교 교단을 이해하는 데 부족한 점이 많아 이 책을 지었다 한다.

제1권에서는 부처의 탄생에서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기까지의 역사와 함께 의 유래와 과 논서·율서의 번역에 대해 언급하였고, 출가와 (受戒)· 등을 논하였다. 그리고 경론에 대한 강의의 연혁을 승강(僧講)과 도강(都講)으로 나누어 적었다. 끝부분에서는 (禪)의 유래를 밝혔다. 특이한 것은 선법의 시초가 달마가 아니라 (鳩摩羅什)의 제자인 (僧叡)로부터 시작된다고 밝힌 점이다.

제2권에서는 교단의 제도를 주로 논한다. 승정(僧正)과 승통(僧統)·사문도통(沙門都統), 그리고 좌우가승록(左右街僧錄)·강경론수좌(講經論首座)·국사(國史)·사부(祠部)·내도량(內道場) 등의 연혁을 밝혀두었다. 이러한 내용은 중국 불교의 교단제도를 살피고 중국불교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제3권에서는 승려에게 자의(紫衣)를 주는 유래와 호(大師號)의 유래를 서술하고, (戒壇)과 종교 결사(結社)의 역사를 밝혀 재회(齋會)나 결사의 기원이 무엇인지를 알 게 해준다. 또한 도승(度僧)을 비롯한 여러 가지 승단 제도와 외래 종교인 말니교(末尼敎)에 대한 설명도 실려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