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령

금강령

[ 金剛鈴 ]

요약 불교 의식에 쓰이는 불구의 하나.
금강령

금강령

원어명 vajra-ghanta

불교, 특히 에서 사용하는 불구(佛具)이다. 간단히 금령(金鈴)이라고도 한다. 여러 부처를 기쁘게 하고, 을 불러 들을 깨우쳐 주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불교가 발생한 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사용된 예가 없다. 에서는 당나라 때 금강저(金剛杵)와 함께 밀교 수행에서 사용되었다. 금강저와 함께 쓰인다고 해서 금강령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몸통은 모양이고 금강저 모양 손잡이가 달려 있다. 하지만 손잡이에 보주(寶珠)가 달린 것도 있고 이 달린 것도 있다. 보주가 달린 것은 보령(寶鈴), 탑이 달린 것은 탑령(塔鈴)이라고 부른다.

손잡이 부분의 고리가 몇 개인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 1개일 경우 독고령(獨股鈴), 3개는 삼고령(三股鈴), 5개는 오고령, 9개는 구고령이라 한다. 이중 독고령과 삼고령·오고령·보령·탑령의 다섯 가지가 많이 사용되어 이를 오종령(五種鈴)이라고 한다. 오종령은 다섯 가지 금강저(이를 오종저라 함)와 함께 큰 단 위에 방위별로 놓인다. 우리 나라에서 많이 쓰이는 것은 삼고령과 오고령으로, 이 두 가지는 특별히 요령(搖鈴)이라고 한다. 에서는 금강령을 장령(藏鈴)이라고도 하는데, 구고령이 많이 쓰인다. 그밖에 부처와 신중을 묘사한 불상령(佛像鈴)과 종자령(種子鈴) 등이 있다. 크기는 대부분 15∼20cm이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