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언해

구급간이방언해

[ 救急簡易方諺解 ]

요약 1489년(성종 20)에 윤호 등이 편찬, 간행한 의학서.
구분 활판본
저자 윤호, 임원준, 허종
시대 1489년

8권 8책. 본. 구급방서로는 가장 완비된 책으로 질병을 과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문을 모아 엮었다. 시골에서도 이 책만 있으면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여 놓았다. 모두 8권인데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을해자본의 복각인 중간본만 전한다. 따라서 원간본은 을해자로 되었으며, 지방에서 복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의 《》에 나타난 책판 목록에 의하면 원주·전주·남원·합천·곤양· 등에 책판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중간본은 완질이 아니라 5권만 알려져 있다. 5권의 각각의 소유자는 권1(일사문고), 권2(미상), 권3(동국대 도서관), 권6(한독약사관, 이겸로), 권7(고 김완섭)이다. 또한 이들은 같은 판본은 아니나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권1, 2는 1982년 《동양학 총서》 9집으로 동양학 연구소에서 으로 간행되었다.

한국 의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언해로서 중세 국어 연구에 특이한 자료가 된다. 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