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광정

연광정

[ 練光亭 ]

요약 평양직할시 중구역 대동문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
지정번호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6호
소재지 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누정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제일누대·만화루 등으로도 불렸다. 고구려 때 평양성을 건설하면서 처음 세웠다. 1111년(고려 예종 6) 현재의 자리에 다시 정자를 세우고 이름을 '산수정'이라고 했으며, 그 뒤 보수·재건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현재의 정자는 1670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건물은 두 개의 다락을 조금 비끼어 맞물려 세워져 있다. 밑부분은 땅을 파서 돌을 깔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은 다음, 지면이 좀 높은 대동강 쪽 바위 위에는 큰 나무기둥을 받치고, 서쪽의 낮은 곳에는 돌기둥을 받쳐 수평을 잡고 다락을 세웠다.

남쪽 은 정면 3칸(11.35m), 측면 3칸(9.2m)이고 북쪽 누각은 정면 2칸(6.15m), 측면 4칸(11.02m)이다. 남쪽 누각의 11개 기둥은 높이 2.65m의 흘림기둥이고 북쪽 누각의 9개 기둥은 네모기둥이다. 는 남쪽 누각이 2익공 외목도리식이고 북쪽 누각은 단익공 주도리식이다. 가 있는 2개의 합각지붕을 직각으로 비스듬히 어긋나게 하여 맞물려 놓았다. 단청은 전반적으로 을 입혔고 에는 비단무늬가 화려하다.

다락에는 전면에 널마루를 깔고 계자각 을 둘렀다. 난간은 바깥기둥의 중심에서 78cm 밖으로 내어 돌리고 굴대로 연결했다. 난간 바깥 대동강 벼랑에는 성벽을 쌓고 그 위에 다시 담장을 쌓아 정자를 둘러막았는데 본래 여기에는 낮게 쌓은 담이 있었다. 남쪽에 넓은 돌계단을 놓았다.

정자 일대에는 연대가 서로 다른 글자가 새겨진 기와 20여 종이 발견되어 여러 차례 보수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동강가에 위치한 연광정은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와 어우러져 예로부터 관서팔경의 하나로 알려졌으며, 남쪽 누각 기둥에는 고려 때 시인 의 시구를 적은 현판이 걸려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