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선

이개선

[ 李開先 ]

요약 중국 명나라의 희곡작가이자 문학가. 문학에서 중요한 것은 '복고'가 아니라 '창조'라고 주장하여 복고주의파에 반대했다. 주요 작품 가운데 《사학》은 산곡과 잡극의 곡문들을 평선한 책으로 당대의 희곡사료도 함께 수록해 놓아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출생-사망 1501 ~ 1568
백화
중록
국적 중국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산둥성 장구
주요작품 《사학》 《보검기》

호는 중록(中麓), 자는 백화(伯華)이며, [山東省] 장구(章丘) 출신이다. 1529년 진사에 급제하고 태상사소경(太常寺少卿)이 되었다. 청렴하고 정직한 관직생활을 했으나 조정을 혁신하라는 상소를 올려 미움을 사서 관직을 박탈당하고 30여 년을 집에서 칩거했다. 이개선은 희곡으로 유명한데, (散曲 : 원·명대의 가곡)과 전기(傳奇)를 모두 잘 썼고 시문(詩文)에도 뛰어났다. 왕신중(王愼中)· (唐順之)· 진속(陳束)· 조시춘(趙時春)· 웅과(熊過)· 임한(任翰)· 여고(呂高) 등과 함께 '가정팔재자(嘉靖八才子)'라 불렸다.

문학에서 중요한 것은 '복고'가 아니라 '창조'라고 주장하여 (李夢陽)· (何景明) 등의 복고주의파에 반대했다. 또한 통속문예를 중시하여 염사(艶詞)와 선시(禪詩) 등을 수집했다.

주요 작품으로 시문집 《한거집(閑居集)》(12권), 《사학(詞謔)》(1권), 산곡집 《이중록악부(李中麓樂府)》 《중록소령(中麓小令)》 등이 있으며 전기로는 《보검기(寶劍記)》 《등단기(登壇記)》등이 있다. 대표작 《보검기》는 임충(林沖)이 핍박받아 양산(梁山)으로 입산하게 된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사학》은 산곡과 잡극의 곡문들을 평선한 책으로 당대의 희곡사료도 함께 수록해 놓아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