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정극

요정극

[ fairytale play , 妖精劇 ]

요약 초자연적인 권능을 지닌 가공의 인물들을 등장시켜 주술과 경이로움·볼거리들을 제공하는 연극.

과 경이로움·볼거리 효과들을 사용하고 초자연적인 권력과 능력을 지닌 선녀, 악마, 적 인물 등 가공의 등장인물들을 개입시키는 극작품을 말한다.

이 연극은 경이롭고 환상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데, 그 효과로 인해서 관객은 실제적이고 사실인 것처럼 느껴지는 세계가 아닌 다른 심리적 법칙에 의해 작동되는 세계로 나아간다. 경이로움은 사건이 일상생활이나 우리들의 기대와 반대로 진행될 때 인과관계 속에서 개입한다.

경이로움은 테마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형식·언어와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과도 연관된다. 또한 관객에게 비판적 시각을 접고 비상, 무중력, 가공할 힘, 등 신화적 영웅들의 초자연적 권능과 마음대로 조작되는 무대장치의 완벽한 환각작용 등 무대에 장치된 기계의 시각적 효과들을 즐기게 해준다.

이 연극은 의상·조명·폭죽·수중 등 상상할 수 있는 여러 시각적 수단들을 사용하여 ·발레· 또는 환상적인 이야기를 보여주는 극작품 등의 여러 형식을 취했는데 이것은 17세기 초 바로크 시대에 유행하였다.

18세기에 이르러 코메디앵-이탈리앵, 오페라, 시장극(Théâtre de la Foire)은 연극과 오페라를 섞은 대스펙터클 양식을 만들어냈다. 18세기 말 마술 환등으로 어두운 객석에 유령의 환영을 드리우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9세기에 이 연극은 ·오페라·팬터마임과 결합된 데 이어서 노래와 춤·음악·연출 효과의 도움을 받고 (vaudeville)과 결합하여 인간적 주인공과 초자연적 힘이 공존하는 스펙터클을 만들려고 하였다.

이 연극은 19세기 빈 통속극의 제작과 오늘날의 (operetta), 에로잡지의 화려한 스펙터클에서 대중극과 다시 만났다.

만화영화·공상영화는 기술적으로 많은 비용이 들더라도 놀랍고 상상을 초월한 것을 제작하는 이 연극의 형식을 직접 이어받았다.

이 연극의 예로서 조내선 스위프트(Jonathan Swift)의《걸리버 여행기 Gulliver's Travels》(1726), (William Shakespeare)의 《한여름밤의 꿈 A Midsummer Night's Dream》, (Molière)의 《프시케 Psyché》같은 작품들을 들 수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