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변 보현사

안변 보현사

[ 安邊普賢寺 ]

요약 강원도(북한) 안변군 영신리에 있는 사찰.
소재지 강원도 안변군 영신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사찰유적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04호로 지정되어 있다. 안변군과 통천군 경계에 높이 솟은 황룡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 737년(신라 효성왕 원년)에 창건했다. 이후 몇 차례 화재를 입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6세기에 다시 지은 것이다. 원래는 중심건물인 보광전을 비롯하여 10여 채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보광전·응진전·염화실·극락전·명부전·일주문·홍예다리 등이 남아 있다.

자연석으로 쌓아올린 축대 위에 2개의 기둥을 받치고 다포계 맞배지붕을 얹은 일주문은, 규모는 작지만 보현사의 건물들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건축양식으로 지은 것이다. 지붕의 합각 부분에 풍판을 설치하고, 모로단청과 금단청으로 마감하였다.

중심건물인 보광전은 정교하게 다듬은 화강석으로 쌓아올린 높이 2m의 기단 위에 정면 3칸(9.22m), 측면 2칸(6.16m)으로 세운 다포계 팔작지붕집이다. 6·25전쟁 때 일부 훼손된 것을 다시 수리했다. 배흘림기둥을 사용했고, 유달리 굵은 모서리기둥은 귀솟음과 안쏠림이 있어 안정되어 보인다. 가구 구조는 5량가이며, 바깥공포는 연봉을 올린 앙서와 수서로 하고 그 위를 봉황의 머리로 장식하였다. 안쪽공포는 각 살미 끝마다 연봉을 조각하였다. 대들보 가운데에 올려놓은 충량에 화려한 용머리장식을 올렸다. 

보광전 서남쪽의 약 3m 거리에 있는 응진전은 정면 7칸(13.54m), 측면 1칸(4.3m)의 이익공식 겹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보광전의 동쪽의 명부전은 장대석 기단 위에 정면 3칸(8.1m), 측면 2칸(4.65m)으로 세운 5량가의 맞배지붕집이다. 지붕은 전면은 겹처마, 후면은 홑처마로 하였다. 공포는 전면에 다포형식으로 꾸미고 쇠서에 커다란 연봉을 장식했다.

극락전은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근세에 다시 세운 것이다. 보현사 앞에 놓여 있는 홍예다리는 이 절을 처음 지을 때 놓은 것으로 화강석을 가공하여 짠 솜씨가 훌륭하다.  

보현사는 동쪽의 달래골과 서쪽의 보남골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만들어내는 풍광이 장관이다.  

참조항목

안변군, 영신리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