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삼봉산맥

비삼봉산맥

[ 非三峰山脈 ]

요약 자강도 용림군(룡림군), 성간군, 낭림군(랑림군) 사이에 있는 파발령에서 시작하여 전천군 망기산까지 뻗은 산맥.
위치 자강 용림군, 성간군, 낭림군, 전천군
높이 평균 1,540m
봉우리 비삼봉
문화재 전천돌부채군락, 용림큰곰

길이 60km, 평균높이 1,540m이며 최고봉은 비삼봉(1,831m)이다. 시신세에서 중신세 초까지 침식을 받아 물결 모양의 구릉지대로 되었다가 중신세 말에서 초에 일어난 으로 한 것이다. 그 후 강한 침식작용으로 평탄면이 거의 사라지고 좁고 날카로운 능선으로 이루어진 높은 이 되었다.

동쪽은 시생대 류·결정·연화산암군의 으로 되어 있고, 서쪽은 중생대 혜산암군의 화강암·화강과 중암통의 · 등으로 되어 있다. 서쪽 지역에는 석탄이 매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높은 산맥이며 기본 산맥인 보다도 약간 높다. 북쪽의 경사는 25° 정도이며 남쪽은 30° 이상이다. 서쪽에는 곳곳에 옛 평탄면이 남아 있으며 원뿔 모양 산봉우리와 절벽이 많다.

주요 산봉우리는 인재백산(1,813m)·박달산(1,816m)·도마봉(1,525m)·구름바위산(1,598m)·비삼봉 등이다. 높은 산봉우리 사이에는 신하동령(1,215m)·박주령(1,281m) 등의 고개가 있다. 산맥을 분수령으로 하여 남쪽에는 장자강의 지류인 후지강, 북쪽에는 역시 장자강의 지류인 마상천·간북천·백암천이 흘러내린다.

식물분포는 온대북부구와 북부고원구의 에 해당하며 해발 600m 아래에는 소나무를 주종으로 하는 침엽수림, 해발 600∼1,000m에는 참나무를 주종으로 하는 활엽수림, 해발 1,000∼1,500m에는 삼나무류와 피나무의 혼합림, 해발고 1,500∼1,900m에는 삼나무류 숲이 있다. 해발 1,800m 이상 지역에는 ····매저지나무 등이 자란다.

남쪽 용림군 용문리는 의 북방한계선이다. 비삼봉 기슭에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된 전천돌부채군락이 있으며, 북한 천연기념물인 용림큰곰을 비롯하여 사향노루·산양·멧돼지 등 30여 종의 산짐승과 10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한다.

동쪽 산마루는 토양, 해발 1,500∼1,900m는 포졸토, 해발 1,000∼1,500m는 포졸성 , 해발 1,000m 아래는 갈색산림토로 이루어져 있다. 북한의 주요 원목생산지로 여러 곳에 임산작업소가 있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