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회학

문학사회학

[ sociology of literature , 文學社會學 ]

요약 문학비평가나 문예사조가들이 문학작품을 사회현실 또는 사회학적 관점을 통해 접근하는 방식을 뜻하는 용어.

문학을 사회현실 또는 사회학적 관점을 통해서 다루는 것을 뜻하는데, 그 적용범위와 갈래는 문화권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문학사회학이란 용어는, 작가가 그가 속한 사회계층, 그의 사회적 이념, 경제상태, 그리고 그의 말에 귀기울이는 독자의 부류에 의해 어떻게 영향받는가 하는 방식에 주된 관심을 가진 비평가들과 문학사가들의 저술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말이다. 이러한 비평가들과 역사가들은, 문학작품이 그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그것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최초의 현대 문학사회학자로 간주되는 프랑스의 역사가 이폴리트 텐(Hippolyte Taine:1828∼1893)은 저서 《영국 문학사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Anglaise》(4권, 1864)에서 문학작품을 인종·환경·시대의 3요소에 의해 주로 평가되는 것으로 보았다.

근래의 문학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법 가운데 널리 알려진 것으로 마르크스주의 비평이 있다.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들은 카를 마르크스(Karl Marx)와 독일의 사회주의자 (Friedrich Engels)의 논리에 이론상의 근거를 두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작가가 사고하고 작품의 방향을 결정하는 경제적·계급적·이데올로기적 요소에 관심을 두는 한편, 그 결과물인 문학작품과 마르크스주의자가 그 시대의 사회적 현실로 보는 것과의 관련성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보통 전형적인 문학의 모방이론에 입각한다. 즉, 그것은 사회주의적 라고 불리는 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가가 무엇을 모방해야 하는가를 말해 준다.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로는 헝가리의 철학자·문학사가인 지외르지 루카치(György Lukács)와 프랑스의 철학자·평론가인 루시앙 골드만(Lucien Goldmann)을 들 수 있다. 지외르지 루카치는 그의 후기 저술에서 미학적 관념론자들에 의해 주창된 예술은 본질적으로 모방이라는 견해의 타당성을 받아들였다. 그는 문학과 예술이 현실의 반영이어야 한다고 역설함으로써 관념론적 모방이론의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루시앙 골드만은 지외르지 루카치와 프랑스 구조주의 과 사회학의 영향을 받아 문학작품의 구조와 사회구조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근대소설을 대상으로 한 《소설의 사회학 Pour une sociologie du roman》(1964) 등의 저서에서 발생론적 구조주의를 표방하여 내용사회학의 난점을 보완하려는 입장을 취하였다. 물론 이 방법도 기본적 전제가 되는 것은 작품세계의 구조 또는 사회집단의 정신적 구조와 문학적 창조의 집단적 성격이 대응관계라는 인식 아래 놓여 있다. 내용사회학은 문학작품과 집단의식을 직접적으로 대응시키는 데 반해 발생론적 구조주의는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규제를 받는 상상적 세계의 창조적 측면은 자유롭다고 보는 입장이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