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비평

원형비평

[ archetypal criticism , 原型批評 ]

요약 꿈이나 신화 등의 원시적 형태에 내재되어 있는 행위나 사상을 인류의 원형적 패턴으로 보고 이를 문학작품에서 찾으려는 비평.

비평(myth criticism)과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근본적으로 역사적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반복해서 나타나는 신화적 패턴 또는 원형(archetype)을 문학작품이 구체화한다는 주장이다. 이 용어는 문학비평에서 많이 사용되어 온 것으로, 모드 보드킨(Maud Bodkin)의 《시의 원형적 패턴 Archetypal Patterns in Poetry》(1934)이 출판된 이후로 널리 사용되었다.

문학의 원형이론은 제임스 G. 프레이저(James G. Frazer:1854~1941)의 《황금가지 The Golden Bough》(1890~1915)와 인류학적 저작과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층심리학에서 비롯되었다. 《황금가지》에서는 대부분의 다양한 문화들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전설이나 의식들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화 및 제의(祭儀)의 기본적인 형태들이 내재해 있음을 주장하고, 또 그것을 추적하고 있다.

융은 ‘원형’이란 용어를 원초적 심상(primordial images)에 적용시켰는데, 이는 옛 선조들의 생활에서 반복되던 경험 형태들의 심리적 잔존물로서, 인류의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을 통하여 전해 내려오고, 문학작품을 비롯하여 신화·종교·꿈 그리고 개인적 환상에도 표현된다고 보았다.

문학비평에서 ‘원형’은 신화와 꿈, 심지어는 사회적 행동인 제의양식에서뿐만 아니라 더욱 광범위한 문학작품 속에서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는 서술구조, 인물유형, 또는 심상(이미지)에 적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현상들에 내재해 있는 유사성들은 일련의 보편적이고 원시적이며 근원적인 구조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문학작품 속에서 효과적으로 형상화되면 독자들에게 심원한 반응을 불러일으킨다고 보았다.

다양한 형태의 원형비평을 실제에 적용한 비평가로는 모드 보드킨 외에 조지 R. 윌슨 나이트(George R. Wilson Knight), (Robert Graves), 필립 휠라이트(Philip Wheelright), 리처드 체이스(Richard Chase),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 노스럽 프라이(Northrop Frye) 등이 있다. 특히 프라이의 저서 《비평의 해부 The Anatomy of Criticism》(1957)는 영향력 있는 비평서이다.

원형비평은 와 비평가로부터 문학작품에 특유한 형식상의 전제를 한다는 점과 문학작품의 역사적·문화적 맥락을 무시한다는 점에서 라고 공격을 받기도 했다. 즉, 문학작품 속에서 원형을 찾아내는 것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인간의 삶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반면 문화와 역사의 차이를 경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는 것이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