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벽등반

빙벽등반

[ 氷壁登攀 ]

요약 등산장비를 이용하여 빙벽을 올라가는 겨울 레저 스포츠.
빙벽등반

빙벽등반

등산장비를 이용하여 빙벽을 올라가는 겨울 레저 스포츠이다. 빙벽등반의 유래는 겨울철 산행의 일부였던 것이 하나의 독립된 레저 스포츠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1975년 무렵 도입되어 1980년대 후반 겨울철 등산장비가 개발·보급되며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

빙벽등반은 암벽등반과 원리는 비슷하지만 바위와 얼음이라는 차이 때문에 더 많은 주의와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슬라이딩이나 추락 연습 등 기초훈련을 튼튼히 하고 바른 등반 자세를 익혀야 한다. 또 장비의 이용과 등반의 기술에 능하고 빙벽의 질과 경사 정도를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빙벽은 보통 4급으로 나뉘는데 1급은 초급빙벽으로 초보자들에게 좋은 장소이고, 2급은 중급빙벽으로 경사가 70∼80도이며, 3급은 중상급빙벽으로 수직에 가까운 빙벽을 말한다.

빙벽등반을 하기 위해서는 피켈, 빙벽화, 빙벽용 아이젠, 헬멧, 장갑, 안전띠, 밧줄, 하켄 등이 필요하다. 복장은 활동하기 좋고 보온이 잘되는 모직이나 스테이플파이버로 된 옷 위에 방수와 통기성이 좋은 파카와 바지를 입어야 한다.

반드시 얼음이 완전히 얼은 뒤에 빙벽등반을 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빙벽에 몰리게 될 경우 날카로운 고드름이 떨어지는 낙빙 사고의 위험이 크고 앞 사람의 아이젠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으므로 질서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항목

암벽등반, 등산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