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 忠州 彌勒大院址 石燈 ]

요약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등.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지정종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6년 12월 21일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6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크기 높이 2.3m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충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과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의 가운데 있는 8각 석등으로 석등의 조형미가 뛰어난 수작을 꼽힌다. 높이는 2.3m이다.

지대석과 연화대석은 한 돌로 조성되었는데, 하대석에는 8잎의 연잎이 새겨졌으며 석등의 기둥이 되는 간주석(竿柱石)은 아무런 장식이 없는 8각 돌기둥이다. 간주석 위에 올려진 상대석에는 아랫면에 각형(角形) 1단을 두었고 8잎의 앙련(仰蓮)을 새겼다. 화사석은 8각 중 4면에만 화창(火窓)이 뚫려 있다. 옥개석의 추녀선은 약간 위로 향하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8각의 상륜 받침 위에 연봉형 보주(寶珠)가 조각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월악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