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송시열 유허비

옥천 송시열 유허비

[ 沃川 宋時烈 遺墟碑 ]

요약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 1979년 9월 29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옥천 송시열 유허비

옥천 송시열 유허비

지정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지정일 1979년 9월 29일
소재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134-2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1979년 9월 29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700년대 후반에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유허비(遺墟碑)이다.

송시열은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또는 화양동주(華陽洞主)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1607년(선조 40) 옥천군 이원면(伊院面) 구룡촌(九龍村)에서 태어났으며, 아명은 성뢰(聖賚)이다. 조선 중기의 대유학자(大儒學者)로 그의 유학사상은 이이(李珥)의 학통(學統)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루었다. 인조(仁祖)부터 숙종(肅宗)에 이르는 4대에 걸쳐 노론(老論)의 대표로서 정계(政界)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성격이 과격하여 정적(政敵)이 많았으나, 뛰어난 학식으로 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문묘(文廟)·효종묘(孝宗廟)를 비롯하여 청주의 화양서원(華陽書院), 여주의 대로사(大老祠), 수원의 매곡서원(梅谷書院) 등 전국 각지의 많은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송자대전(宋子大全)》 《우암집(尤庵集)》 《송서습유(宋書拾遺)》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 《심경석의(心經釋義)》 《사계선생행장(沙溪先生行狀)》 등이 있다.

참조항목

비석, 송시열, 이원면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