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모전

숙모전

[ 肅慕殿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묘재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숙모전

숙모전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숙모전(肅慕殿)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의 동학사(東鶴寺) 경내에 있으며, 단종(端宗)과 충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경내에는 삼은(三隱), 즉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를 모시는 삼은각(三隱閣)이 있다.

매월당 김시습(金時習:1435∼1493)은 1456년(세조2) 사육신의 시신을 장례 지낸 뒤 삼은각(三隱閣) 옆에 단을 만들고 제사하였다. 2년 뒤 동학사에 들렸던 세조(世祖:1417∼1468)가 자기로 인하여 죽은 280명을 초혼각(招魂閣)에 모시도록 했다. 1728년(영조4)에 불에 타 1827년(순조27) 다시 세웠으며, 1904년(고종41)에 중건하여 고종으로부터 숙모전(肅慕殿)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다. 현재 89위가 모셔져 있고 음력 3월 보름과 10월 24일에 추모제를 지낸다.

참조항목

반포면

역참조항목

이세영, 숙모전 대제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