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쌍수정

공산성 쌍수정

[ 公山城 雙樹亭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공산성에 있는 정자.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공산성 쌍수정

공산성 쌍수정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관리단체 공주시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4-4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충청남도 공주시 공산성 내 있으며 공산성 진남루(충남 문화재자료) 서쪽에 위치한 정자이다. 1624년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하여 이곳 공주까지 내려와 공산성에 피신하고 있었다. 산성에서 가장 높은 언덕에 위치했던 쌍수(雙樹:두 그루 나무)에 기대어 이괄의 난이 평정되기를 기다리고 있던 차에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너무나 기뻐했던 나머지 자신이 기대었던 느티나무 두 그루에 통훈대부(通訓大夫)라는 벼슬을 명하고 이곳을 쌍수산성이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이때의 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1734년(영조 10)에 쌍수가 있던 자리에 정자를 지었다. 처음 정자를 지었을 때 당시의 이름은 삼가정(三架亭)이었다. 그후 여러 차례 중건하였으며, 1903년(광무 7)에 다시 정자를 세웠는데 그때 이후 쌍수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70년 전체적으로 해체 복원한 것이다. 정자 앞에 느티나무 1그루와 말채나무 1그루가 서 있지만 어느 나무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인조가 이곳에 머물렀을 당시의 사적을 기록한 비안 쌍수정 사적비(충남 유형문화재)도 남아 있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산성 쌍수정 충남 공주시 공산성 내 있는 정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조선시대 중기 때인 1624년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하여 이곳 공주까지 내려와 공산성에 피신하고 있었는데 난이 진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공산성 느티나무 2그루에 벼슬을 내리고 "쌍수산성"이라고 했던데서 유래한다.  1734년 당시를 기념하기 위해 공산성에서 가장 높은 언덕에 정자를 세우고 삼가정이라고 했는데 이후 세월이 지나면서 허물어지자 1903년 같은 자리에 다시 정자를 세우고 쌍수정이라고 명명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