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석리 삼층석탑

지석리 삼층석탑

[ 支石里 三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에 있는 석탑.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지석리 삼층석탑

지석리 삼층석탑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5월 17일
관리단체 서천군
소재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지석길 39-28 (지석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30㎝, 지대석 너비 110㎝, 상대갑석 너비 83㎝ 높이 14㎝, 상대중석 너비 60㎝ 높이 32㎝, 하대갑석 너비 94㎝ 높이 17㎝, 3층 옥개석 너비 52㎝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높이 130㎝로, 일본인들이 가지고 가려다 마을사람들의 반대로 무산되어 현재의 위치에 있다.

기단은 2중 기단이며, 상대갑석(너비 83㎝, 높이 14㎝), 상대중석(너비 60㎝, 높이 32㎝), 하대갑석(너비 94㎝, 높이 17㎝), 하대저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대저석은 여러 개의 판석으로 조합되었다. 하대중석은 4개의 별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에는 안상 3구가 조각되었으며, 그 안에는 다시 3엽 모양의 인동무늬를 양각하였다.

하대갑석의 윗부분은 상대중석을 받치기 위해 약 1㎝의 깊이로 단을 팠다. 상대중석은 서쪽의 판석이 없어져 내부가 노출되었는데, 내부 중앙에는 직사각형의 대(臺)가 놓여 있으나 용도는 확실하지 않다.

상대중석의 맨윗부분에 상대갑석이 놓여 있으며, 갑석(대석 위에 뚜껑처럼 포개어 얹어놓은 납작한 돌)의 윗부분에는 초층 옥신괴임이 조출된 각형이며, 주변에는 복련(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화무늬)이 음각되었다. 하대갑석과 마찬가지로 상대갑석을 끼워넣기 위해 하단부에 약 1㎝의 단을 팠다.

탑신부는 초층 옥신을 제외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체감률을 적용하였다. 모서리 부분은 마멸이 심해 우주(건물 또는 탑의 모퉁이에 있는 귀기둥)의 흔적이 희미하게 있다. 3층 옥개석(너비 52㎝)은 전각의 반전도가 심하며 전각부에는 풍탁공이 뚫려 있다.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지석리 삼층석탑 서천군 지석리에 있는 3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충남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에 있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3층 석탑으로 일제시대 마을 뒷산에 있던 탑을 일본인이 본국으로 가져가려다가 발각되어 현재의 장소에 남겨졌다고 전한다. 높이 130㎝의 탑으로 기단은 2중 기단으로 상대갑석, 상대중석, 하대갑석, 하대저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대중석은 서쪽의 판석이 없어져 내부가 노출된 상태이다.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가 올려진 모습이며 탑신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갈수록 몸돌 높이가 급격히 낮아져 지붕돌보다도 낮은 형태이다. 3층 지붕돌의 네 귀퉁이 반전이 심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