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공산성 연지

공주 공산성 연지

[ 公州 公山城 蓮池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시대의 연못터. 1982년 12월 31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주 공산성 연지

공주 공산성 연지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82년 12월 31일
관리단체 공주시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58번지
시대 백제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원
크기 면적 1,164㎡

1982년 12월 31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주 공산성 내 남쪽 영은사(靈隱寺) 앞에 있는 연못터로 1982년부터 2년간 공주대학교(당시의 공주사범대학)에서 발굴하여 유적지임을 확인하였다. 단을 둔 석축을 정연하게 쌓았으며 동서 양축에 넓은 통로를 둔 것이 특징이다. 동서가 긴 평면 직사각형으로 규모는 최대 길이가 21㎝, 너비는 약 12㎝이다.

호안석축은 단을 두어 전체적으로 위를 넓게 하고 아래를 좁게 쌓아 9층 석탑을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형태와 흡사하다. 서쪽 호안이 남쪽으로 접한 곳에는 다듬은 돌 2개씩을 포개 쌓아 10여 개의 계단을 설치하여 출입 통로를 두었다. 이 통로를 통하면 연지의 바닥까지 출입할 수 있다. 바닥은 판석으로 깔았고 동서 9m, 남북 4m 규모이다. 연지 둘레의 동서 벽에서 북쪽 금강변 호안으로 너비 40㎝의 배수로가 설치되었고 현재도 석루두(石漏頭)가 남아 있다.

이 연지의 북쪽과 금강 호안 사이의 대지에서 정면 4개, 측면 3개의 8각 고주가 발굴되었는데, 측면 중앙에 누각으로 올라갈 수 있는 승가대석(昇架臺石)이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누각 건물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백제시대부터 계속하여 이용되어 왔음을 시사하고 있는 이 연지는 산성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역참조항목

산성동, 금성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산성 만하루 충남 공주 공산성 내 소재하는 조선시대 누각 만하루는 조선시대 충청감사 김시찬(金時粲)이 공산성 동쪽 연못가에 6칸으로 건립하였다. 만하루라는 명칭은 당나라 두보(杜甫)의 시 세병마(洗兵馬)의 마지막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만하루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가 1980년 공산성 유적발굴조사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어 1984년 복원하였다. 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목조 건물이며, 옆에 연못도 복원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