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백일헌 종택

논산 백일헌 종택

[ Baegilheon Head House, Nonsan , 論山 白日軒 宗宅 ]

요약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2012년 10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백일헌 이삼장군 종택

백일헌 이삼장군 종택

지정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일 2012년 10월 26일
소재지 충청남도 논산시 주곡길 45-0 (상월면)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85년 12월 31일 충청남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재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이삼(1677∼1735)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을 세워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지면서 건립비가 하사되어 지어진 것이다.

이삼은 본관은 함평, 자는 원백이다. 1705(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정주목사를 거쳐 경종 때 포도대장이 되었다. 1725년(영조 1)에 죄인을 신문한 사건에 연루되어 지금의 경상남도 사천에 유배되었다. 그뒤 복관되어 공을 세웠으며, 벼슬이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여러 무술에 정통하였으며, 기계의 제조에도 뛰어났다.

‘ㄷ’자형 안채, ‘ㄴ’자형의 사랑채, 광이 있다. 안채의 왼쪽 뒤에는 사당을 두었고, 사랑채 밖의 전면에는 솟을삼문의 문간채를 두었다. 안채 건물은 모난 기둥을 썼고, 중앙 전면 3칸은 소로수장을 한 민도리집 형태이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양반 가옥이다. 일부가 약간 변경되었으나 비교적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

참조항목

논산시, 이삼

역참조항목

상월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논산 백일헌 종택 논산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 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   충남 논산시 상월면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으로 백일헌(白日軒) 이삼(李森) 장군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공을 세우자 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자연 경사지에 지어진 건물은 솟을삼문이 포함된 문간채, ㄴ자형 사랑채, ㄷ자형 안채, 사랑채 오른편 위쪽에 사당, 안채 뒤쪽으로 광채 건물이 있다. 백일헌 이삼은 죄인 심문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관된 후 공을 세워 공조판서까지 오른 인물이다. 종택 건물은 충청도 무인가문을 대표하는 가옥으로 평가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