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홍양리 오층석탑

부여 홍양리 오층석탑

[ 扶餘 鴻良里 五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1974년 9월 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부여 홍량리 오층석탑

부여 홍량리 오층석탑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9월 1일
관리단체 부여군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 190-1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4m

1974년 9월 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량리의 비봉산 노적봉 남쪽 기슭에 있으며 높이는 4m이다. 5층의 탑신(塔身)과 옥개석(屋蓋石)으로 되어 있는데, 1층과 5층은 탑신과 옥개석이 따로 떨어져 있고 2층은 탑신과 옥개석이 하나의 석재(石材)로 만들어졌다.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으며 보주(寶珠)는 후대에 보수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백제석탑의 양식을 따랐으며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홍산면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부여 홍양리 오층석탑 부여 홍량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부여 홍량리에 안량사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사찰은 남아있지 않고 오층석탑만 남아있으며 주변에서 기와,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고려시대 건립된 석탑이지만 백제의 석탑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깔고 그 위에 2장의 판석을 올리고 탑신을 세웠다. 탑신에는 우주, 탱주 등 아무런 장식이 없고 각 층마다 탑신과 옥개석이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다. 탑의 상륜부는 모두 유실되고 남아있지 않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