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각서석

부산각서석

[ 浮山刻書石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글자가 새겨진 바위. 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부산각서석

부산각서석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6년 1월 8일
관리단체 부여군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672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석각류

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1585∼1657)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에는 도성을 사수할 것을 주장하였고 이후 배청파(排淸派)로 몰려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 효종 때에는 영의정이 되어 북벌계획을 세우고 국방에 힘썼으나 청나라의 간섭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부여에 낙향하였다. 낙향 후 1657년(효종8) 북벌계획에 관련된 상소문을 올리자 효종은 "성이지통재심 유일모도원의(誠以至痛在心 有日暮途遠意:경의 뜻이 타당하고 마음이 아프지만 뜻을 이루기에 너무 늦다)"라는 구절이 적힌 답을 내렸다.

뒤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지통재심(至痛在心) 일모도원(日暮途遠)〉의 8자를 써서 아들 민서(敏敍)에게 전했으며 1700년(숙종26)에 손자 이명이 바위에 이 8자를 새겼다. 정자(亭子)의 이름은 대재각(大哉閣)이라 하였는데 이는 《상서(尙書)》의 "대재왕언(大哉王言:크도다 왕의 말씀이여)"에서 따온 말이다.

참조항목

규암면, 이경여, 효종

역참조항목

진변리, 부여 대재각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부산각서석 부여군의 백마강가 암벽에 새겨진 글씨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7호 충남 부여군 규암면의 백마강가 암벽에 새겨진 글씨로 조선 후기 문신 이경여가 북벌계획과 관련하여 올렸던 상소문에 대한 효종의 답신으로 이후 후손에 의해 바위에 새겨졌다. 이경여는 당시 영의정을 지내다 청나라의 간섭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인물로 암벽의 글씨는 "경의 뜻이 타당하고 마음이 아프지만 뜻을 이루기에 너무 늦다."라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이 글씨 8자는 우암 송시열이 이경여의 후손에게 전달한 것으로 1700년(숙종26)에 손자 이명이 전달 받은 글을 바위에 새겨 넣은 후 바위 위에는 "대재각(大哉閣)’의 건물을 세웠다.  정자 "대재각’은 《상서》에서 가져온 말로 "크도다 왕의 말씀이여"를 의미한다. 암벽 위 글씨체는 힘차고 강건한 필체로서 금석문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