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at Cheongnyangsa Temple Site, Gongju , 公州 淸凉寺址 五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석탑. 1998년 9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8년 9월 15일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346 (학봉리)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490cm

1998년 9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1950년대에 도괴되던 것을 1961년에 복원하였다. 높이는 490㎝이다.

1층 기단 위에 세운 5층석탑으로, 4장의 지대석 위에 4장의 하대석이 있으며, 그 위에 우주(隅柱:모서리의 기둥)와 면석을 별도의 돌로 조성한 중대석이 있는데, 면석 1장은 없어졌다. 갑석(대석 위에 뚜껑처럼 포개어 얹어놓은 납작한 돌)은 꾸밈이 없이 단순하다. 1층 탑신은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조성하였는데, 면석 1개는 없어졌다. 1층 탑신 위에는 옥개석받침이 있는데, 2단이 각각 별석으로 되었으며, 하단의 옥개석받침은 끝이 직각으로 꺾였고, 상단의 옥개석받침은 안쪽으로 경사가 졌다.1층 옥개석 윗면에는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조성한 2층 탑신 받침이 있으며, 그 위에 각각 별석으로 된 옥개석받침 2단이 있는데, 조성 수법은 1층 옥개석받침과 같다. 2층 옥개석은 4장, 3층과 4층은 1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성 수법은 1층과 같다. 3층과 4층 탑신에는 우주가 조각되었다. 3층 옥개석받침은 각각 별석으로 된 2단으로 조성한 반면 4층 옥개석받침은 1단으로 조성하였으며, 1층과 마찬가지로 경사를 두었다. 4층 옥개석 위에는 5층 탑신이 있으며, 그 위로 노반(탑의 지붕 꼭대기에 장식으로 설치하는 보륜을 받는 것)과 보주(불탑의 구륜 위에 얹는 꼭대기 장식) 형태의 부재만 남아 있다.

청량사지는 ‘청량사’라는 명문이 찍힌 와당이 발견되어 청량사지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곳에는 일명 오뉘탑(남매탑)이라 부르는 탑 2기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청량사지 오층석탑이고, 다른 하나는 이것과 같은 해 보물로 지정된 청량사지 칠층석탑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석탑 보물 청량사지는 ‘청량사’라는 명문이 찍힌 와당이 발견되어 청량사지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곳에는 일명 남매탑이라 부르는 탑 2기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청량사지 오층석탑이고, 다른 하나는 청량사지 칠층석탑이다.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은 1950년대까지 허물어져 석재가 흩어진 것을 수습하여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석탑의 높이는 약 5m이다. 1층의 면석 1개는 없어졌고 상륜부는 대부분이 유실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