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릉재사

종릉재사

[ 鍾陵齋舍 ]

요약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석문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재실.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종릉재사

종릉재사

지정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3년 2월 25일
관리단체 전주유씨 수곡파문중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석문리 10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크기 안채 정면 4칸, 측면 2칸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 영흥부사를 지낸 유비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후손 유영순이 1606년(선조 39)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할 때 묘비와 함께 건립한 재실이다. 1995년 안채와 추원재, 1996년에 행랑채를 보수하였다.

ㄱ자형의 행랑채와 추원재 및 안채(정침)가 ㅁ자형을 이루고 문틀에는 가운데 설주를 설치한 특이한 구조로 조선 중기 분묘 재실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는 건물이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에 5량가구 구조이며, 홑처마에 맞배지붕집이다. 추원재는 3통칸의 누마루와 한 칸의 방으로 되어 있으며, 홑처마 맞배지붕에 3량가구 구조로 되어 있다.

행랑채는 3량가구로 건물 왼쪽으로부터 마구·대문·사랑방 2통칸·사랑정지가 연이어 있고, 사랑정지에서 안마당 쪽으로 꺾어 방과 고방 2칸이 있다.

참조항목

문수면, 유영순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