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당 종택

이우당 종택

[ 二愚堂 宗宅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1984년 5월 2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우당 종택

이우당 종택

지정종목 시도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84년 5월 21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중마길 45 (임하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84년 5월 2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권씨 부정공파(副正公派) 임하지파(臨河之派) 이우당 권환의 종택으로, 1640년(인조 18)에 건립되었다. 안동에서 영양으로 가는 국도변 오른쪽으로 임하호에 근접하여 있는데, 마을의 모든 건물이 북향인 데 반해 이 건물만 북동향으로 자리잡았다.

목조기와로 된 민도리집 형태의 홑처마집으로 정면 5칸, 측면 5칸의 ㅁ자집이다. 대청은 6칸으로 구성되었으며, 5량가(五樑架)에 우물마루를 깔았다. 사랑채는 1773년(영조 49) 정침(正寢)을 보수하면서 지었는데, 기단을 높게 쌓고 지은 팔작지붕이며 건물 주위로 난간을 돌렸다.

1963년 건물 전체를 보수하였고, 1994년에 기존 콘크리트 기단을 해체하여 자연석 기단을 설치하고 부식된 목부재와 기와를 교체하는 부분적으로 보수하였다. 후손인 권일오가 관리를 맡고 있다.

참조항목

임하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