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사 삼층석탑

천성사 삼층석탑

[ 千聖寺 三層石塔 ]

요약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천성사에 있는 석탑. 1979년 1월 2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천성사 삼층석탑

천성사 삼층석탑

지정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9년 1월 25일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꿀덩이길 93 (봉성면)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2.68m

1979년 1월 25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봉성리 구 관아에 있던 쌍탑 중 하나로 1952년 천성사를 창건한 후 옮겨놓았다. 다른 1기는 봉성초등학교에 옮겨 세웠다. 탑의 높이는 2.68m이며, 옥개석의 경쾌함과 처마 끝의 완만한 곡선 등이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높직한 괴임단 위 단층기단 각 면에 우주와 탱주가 하나씩 새겨져 있으며,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각층 탑신에는 양쪽에 우주가 새겨져 있다. 옥개석 받침은 1·2층이 4단씩이고 3층은 둥글게 변형되었다. 상륜부에는 노반(露盤)과 보개(寶蓋)가 남아 있다. 기단부는 풍화되고 변형되었다.

참조항목

봉성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