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놀이

영감놀이

[ 令監놀이 ]

요약 제주특별자치도의 무당굿 가운데 놀이굿.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시도무형유산
지정일 1971년 8월 26일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기예능보유자 이중춘
종류/분류 무형유산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는 이중춘이다. 영감놀이란 제주도의 무당굿 중 놀이굿의 하나이다. 즉 도깨비신에 대한 굿으로서 무속의례 굿인 동시에 연희놀이이다. ‘영감’은 도깨비를 높여 부르는 말로서 영감본풀이라는 신화에 근거한 것이다.

영감본풀이에 따르면, 이 신은 서울 먹자고을 허정승의 7형제들로서 큰아들부터 여섯째 아들까지는 각자 육지의 유명한 산들을 차지하였고, 일곱째는 한라산 일대를 차지하였다. 이 신들은 허름한 차림에 짧은 곰방대를 물고 다니는 우스꽝스런 모양의 신인데 순식간에 천리만리를 날아다닌다. 돼지고기와 수수범벅, 그리고 소주를 즐겨 마시고 미녀를 좋아하며 같이 살자고 따라붙어 병을 주거나 밤에 몰래 규방에 드나들기도 하는 망측한 성격도 있다.

이 놀이는 영감신이 여인을 범접하였기 때문에 앓는 병을 치료하려는 경우, 어선을 새로 짓고 선왕을 모셔 앉히려는 경우, 또는 마을의 당굿 때에 실연되는데, 오늘날은 병을 치료하는 경우만 볼 수 있다. 보통은 소무(小巫) 두세 사람이 영감신의 가면을 쓰고 헌 도포, 헌 짚신, 헌 갓 등으로 꾸미고 곰방대를 입에 물며 짚자루에 돼지고기, 내장 등을 싸들고 횃불을 치켜들어 집 밖에서 준비한다. 규모가 클 때는 7형제 중 막내만을 제외한 6형제, 즉 여섯 사람이 영감으로 분장한다. 도깨비에 대한 굿으로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어서 더욱 흥미가 있다.

참조항목

굿, 도깨비, 민속놀이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