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견 신도비

이철견 신도비

[ 李鐵堅 神道碑 ]

요약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강림리에 있는 조선시대 이철견의 신도비.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철견 신도비

이철견 신도비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5년 5월 12일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2963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석비
크기 총높이 259cm, 면적 400㎡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259cm, 보호면적 400㎡로, 비신의 상부에 가로로 ‘양평이공신도비명(襄平李公神道碑銘)’이라 명명되어 있다. 홍귀달이 짓고, 안침이 전액(篆額)과 본문을 썼고, 1597년(연산군 3)에 건립하였다.

비의 좌대(座臺)는 화강석이고, 비신과 이수는 하나의 돌로 된 대리석이다. 이수는 보개형(寶蓋型)을 하고 있어, 조선 전기 신도비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좋은 금석자료이다. 본래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산 72번지에 있던 것을 1969년에 도시계획 관계로 현 위치로 옮겼다.

조선 성종 때의 공신인 이철견은 본관 경주, 자 연부, 시호 양평이다. 1466년(세조 12) 등준시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훈련원 도정이 되었고, 1468년 경기도관찰사에 이르렀다. 1487년 전횡이 심하다는 탄핵을 받고 사직하였다가, 1495년(연산군 1) 의금부지사에 복직되었다.

세조에서 연산군 재위기간 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호조판서·경상도관찰사·한성판윤 등을 지냈으며,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참조항목

옥포읍, 이철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