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 桐華寺 念佛庵 靑石塔 ]

요약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桐華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8년 5월 30일
소재지 대구 동구 도학동 산124-1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석탑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팔공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암자인 염불암에 있는 청석탑으로, 탑신은 없고 3단의 화강암 지대석 위에 옥개석만 포개져 있는 형태이다.

네모형의 흑색 점판암으로 조성된 옥개석은 10층까지 남아 있으나, 아래쪽의 3개 층과 맨 위쪽 1개 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심하게 파손되어 각층마다 낙수면에 돌을 괴어놓았다. 각 옥개석은 두께가 얇고 낙수면이 평평하며 네 귀퉁이의 끝이 위로 살짝 들어 올려진 경쾌한 형태로, 해인사 원당암 청석탑과 같은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옥개석의 체감률은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넓은 지대석 위에 놓인 작은 탑이라 안정감이 있다. 옥개석의 선각이나 단아한 낙수면의 조각 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유행한 청석탑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참조항목

동구, 동화사

역참조항목

도학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