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장 선생 유적

백장 선생 유적

[ 白莊 先生 遺蹟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금덕리에 있는 고려시대 유적. 1999년 4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백장선생유적

백장선생유적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지정일 1999년 4월 23일
관리단체 수원백씨정신제공파대종회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금덕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크기 면적 9,772㎡

1999년 4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장계면에서 계북면 방향으로 국도를 따라가면 호덕마을이 있는데, 마을의 동쪽 경계 지점에 있다. 백장 신도비이수, 귀부 외에도 최근에 보문비의 내용을 해석하여 세운 비석 등이 있다. 유적지의 면적은 9,772㎡이다. 백장 신도비의 높이는 128㎝, 너비는 77㎝이다.

백장의 호는 정신재(靜愼齋)이며, 자는 명윤(明允), 시호는 충숙(忠肅), 휘는 장(莊)이다. 관향은 수원(水原)이다. 고려 말기인 1342년에 태어났고, 포은 정몽주에게 학문을 익혀 삼은(三隱)에 버금가는 성리학자로 알려져 있다. 공민왕 때 광정대부이부전서보문각대제학을 지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와 태종으로부터 이조판서집현전대제학을 제수받았으나, 조선의 건국에 참여할 수 없다고 사양하여 장계면 삼봉리로 유배되었다. 비명은 당성 홍직필이 썼다.

참조항목

장계면, 장수군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백장선생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금덕리에 있는 고려시대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백장은 고려 말기인 1342년에 태어났고, 포은 정몽주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혀 삼은(三隱)에 버금가는 성리학자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공민왕 때 대제학(大提學)을 지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와 태종으로부터 이조판서 집현전대제학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하고 장수 장계면 삼봉리로 유배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