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암사 동종

개암사 동종

[ 開岩寺 銅鐘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에 있는 조선시대 동종(銅鐘). 1986년 9월 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개암사 동종

개암사 동종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6년 9월 8일
관리단체 개암사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감교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크기 높이 89㎝, 구경 61.5㎝

1986년 9월 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체높이 89㎝, 구경 61.5㎝이다. 어깨에 견대를 둘렀는데, 견대는 다시 여러 개의 4각형으로 나뉘어져 안에 범자(梵字)를 새긴 원과 2행의 한자 명문을 양각하였다. 아래에 있는 4개의 유곽(乳廓)에는 연화모란문을 새겼고 내부에는 팔판화형유좌(八瓣花形乳座)를 갖춘 9개의 유두(乳頭)를 돌출시켰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 4개의 보살입상을 양각하였는데, 구름 모양의 의자에 앉아 두 손으로 향화(香花)를 받들고 보관을 쓴 머리 주위로 두광(頭光)이 발한다. 종 아랫부분에는 견대와는 달리 유곽과 같은 형태의 구대(口帶)를 둘렀고 머리부분에는 용뉴(龍紐)와 용통(龍筒)이 있다. 종각이 따로 없어 개암사 대웅전에 보관하였으며, 조성연대가 1689년(숙종 15)이라는 명문이 있어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개암사 동종 전북 부안군의 개암사에 있는 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의 개암사에 있는 조선시대 동종으로 종의 아랫부분에 1689년(숙종15)에 주조하였다는 명문이 기록되어 있는 조성연대가 확실한 종으로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전체높이 89㎝, 구경 61.5㎝ 규모로 보관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동종은 범종각에 모셔져 있으며 대웅보전에 있는 종은 원래의 개암사 동종을 본떠서 새로 만든 종이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 4개의 보살입상을 양각하였는데, 구름 모양의 의자에 앉아 두 손으로 향화를 받들고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종의 윗부분에는 종을 매다는 용뉴와 소리의 울림을 돕는 융통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