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수동 마애종

석수동 마애종

[ Rock-carved Bell of Seoksu-dong , 石水洞 磨崖鐘 ]

요약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마애종. 1980년 6월 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석수동 마애종

석수동 마애종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0년 6월 2일
관리단체 안양시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32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물 / 일반조각 / 암벽조각 / 암각화

1980년 6월 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스님이 달아놓은 을 치고 있는 장면을 거대한 바위에 묘사한 것으로서, 한국에서 유일한 마애종이다.

사각형의 결구 형식에 쇠사슬로 연결된 종은 음통을 갖춘 비교적 정교한 종뉴 아래에 약간 벌어진 형태의 종신이 연결되어 있다. 종신의 표면에는 상대와 붙어 있는 유곽, 종복에 있는 연화무늬 당좌(撞座), 뚜렷하지 못한 문양을 새긴 하대가 매우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공간의 균형감이 있어 보이며, 전체적으로도 안정감이 있는 종을 표현하였다.

조각 수법이나 종뉴·종신의 표현 등에서 신라 말이나 고려 초의 작품으로 생각되며 마애종의 유일한 예로서 귀중한 자료이다.

참조항목

석수동

역참조항목

만안구, 안양 보장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석수동 마애종 안양시 석수동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에 있는 거대 바위 면에 새겨진 범종으로 우리나라 유일의 마애종이다. 바위면에는 나무틀에 쇠사슬로 매달아 놓은 종을 두고 손에는 종을 칠 긴 나무막대를 든 스님이 정면을 향해 서 있는 모습이 얕게 새겨져 있다.   마애종에는 정면에 2개의 유곽이 보이며 유곽에는 9개의 유두가 새겨졌고 고리와 음통에는 얼굴을 아래쪽으로 향한 용이 1마리 새겨져있다. 마애종 중앙부의 당좌는 가운데 원형1개, 양끝에 반원형2개가 새겨져 전체 4개로 짐작된다. 석수동 마애종은 고려시대 사찰 중초사 터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종 자체의 형태와 함께 고대에 범종을 실제 어떤 식으로 사용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매우 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