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공선사 부도 및 석등

지공선사 부도 및 석등

[ Stupa and Stone Lantern of Master Jigongseonsa , 指空禪師 浮屠 및 石燈 ]

요약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에 있는 지공선사의 승탑과 석등. 1974년 9월 2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공선사 승탑 및 석등

지공선사 승탑 및 석등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4년 9월 26일
관리단체 회암사
소재지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부도의 높이 3.65m, 가로 2m, 세로 2m

1974년 9월 26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인 1372년(공민왕 21)에 세워진 것으로 승탑회암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지공선사의 묘탑(墓塔)이다. 지공선사는 인도 마갈제국에서 태어나 원나라 순제 때 고승으로 이름이 높았고, 고려 말기에 회암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승탑은 팔각지대석 위에 상·중·하대의 기단을 두었으나 아무 조각이 없고 꼭대기에는 보주(寶珠)가 조각되어 있다. 높이는 3.65m, 가로 세로가 각각 2m이다. 석등은 사각형의 하·중·상대석 위에 2매석으로 된 화사(火舍)를 두고 4각의 옥개석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상륜부(相輪部)가 있다.

승탑과 석등의 위치는 나옹선사(懶翁禪師)의 승탑이 있는 언덕 아래 30m 지점으로 부도, 석상(石床), 석등이 남북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 앞에는 지공선사의 비석과 거북받침이 놓여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지공선사 부도 및 석등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에 있는 부도(승탑)와 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9호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지에 있는 지공선사의 부도와 석등으로 1372년(공민왕 21)에 세워졌다. 당시 삼대화상으로 불렸던 지공, 나옹, 무학의 부도와 탑비, 석등이 회암사지 동쪽 능선에 세워져있다. 부도는 팔각지대석 위에 3단의 기단을 두고 그 위에 탑신부와 상륜부가 올려진 파손없는 형태이며, 석등은 4각형의 기단 위에 2매의 화사석을 마주 붙여 화창을 내고 그 위에 사각의 옥개석을 올렸다. 지공선사는 인도 마갈제국의 왕자로 태어난 인도출신 승려로 충숙왕 때 고려에 들어와 회암사를 창건하였으며 당시 유행하던 선불교의 가르침으로 고려의 불교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