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하판리 지진탑

가평 하판리 지진탑

[ Three-Story Jijin Pagoda in Hapanri, Gapyeong , 加平 下板里 地鎭塔 ]

요약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하판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가평 하판리 지진탑

가평 하판리 지진탑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3년 9월 19일
소장 대한불교조계종 현등사
관리단체 현등사주지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88m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고려 희종 때의 보조국사 지눌이 세운 탑이라는 뜻으로 보조국사탑이라고도 불린다.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된 현등사는 오랫동안 폐사지로 남아 있었다. 어느 날 보조국사는 이곳을 지나가는데 석등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곳에 사찰을 재건하기로 결심한 지눌은 사찰 경내의 지기(地氣)를 진압하기 위하여 이 지진탑을 세웠다고 한다.

현등사 경내의 언덕 아래에 서 있는데, 본래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현재 기단부 및 1층 탑신석·상륜부(相輪部)가 없어져 원형을 알 수 없다. 높이 1.88m이다.

하단에 있는 지대석(地臺石)에는 2단의 괴임대가 있고, 네 귀퉁이의 합각(合角)이 뚜렷하다. 기단의 갑석(甲石)은 2장의 판석으로 네 귀퉁이의 합각선이 뚜렷하다. 탑신석(塔身石)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다. 탑신석에는 각각 양 우주(隅柱)가, 옥개석의 하단에는 옥개 받침이 있고, 2층이 4단, 3층이 3단으로 상층으로 갈수록 수가 줄어든다.

낙수면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고, 추녀는 끝에서 반전(反轉)이 심하다. 각층 옥개석 위에는 탑신받침이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露盤石: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 복발·보주 등의 상륜부재를 받치는 장식)만이 남아 있는데, 지름 5㎝의 찰주공(擦柱孔)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가평 하판리 지진탑 가평 현등사 인근에 세워진 고려시대 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경기도 가평군 하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으로 보조국사 지눌이 오랫동안 폐사지로 방치된 현등사 터를 지나다 석등 불빛을 발견하고 사찰 중창전에 땅의 기운을 진정시키려 탑을 세웠다고 전한다. 지진탑은 "보조국사탑" 이라고도 하며 현등사에서 조금 떨어진 언덕 아래에 위치한다. 높이 1.88m 규모로 원래 3층 석탑으로 추정되나 기단 일부와 탑신부 1층 부재가 소실된 상태이다. 기단의 갑석은 2장의 판석으로 네 귀퉁이의 합각선이 뚜렷하며 탑신부의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고 탑신석에는 각각 양 우주(隅柱)를 표현하고 면석에는 여래상 조각이 보인다.  상륜부는 노반석만 남았는데 지름 5㎝의 찰주공이 올려져 있다. 옥개석의 표현과 탑신석 면석의 여래상 인물 조각 등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건립된 석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