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

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

[ 甲串나루 船着場 石築路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나루터.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

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

지정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95년 3월 2일
소장 국토해양부
관리단체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김포군 월곶리 성동리 일원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교통 / 수상교통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사이를 배편으로 연결하던 곳이다.

갑곶이라는 명칭에 대하여서는 전하는 이야기가 있다. 고려 23대왕 고종(高宗)이 몽고군의 침입을 받아 강화도로 몽진(蒙塵)할 때 이 나루를 건너게 되었는데, 이곳이 대안과의 거리도 짧고 수심이 얕아서 군사들이 갑옷을 벗어 쌓아놓고 건널 수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은 정묘호란(丁卯胡亂) 당시에도 인조대왕(仁祖大王)이 건넜던 사실이 있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에는 봉림대군(鳳林大君)이 피신했던 곳이기도 하다. 또 병인양요(丙寅洋擾) 때에는 격전을 치렀던 역사적 실전의 현장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나루터 시설 없이 이용되다가 조선 초기 박신(朴信)에 의하여 1419(조선 세종 원년)∼1432년(세종 14) 사이에 최초로 석축로가 축조되어 일제 때까지 약 500년간 사용되었다. 그후 교통수단이 발달하자 1920년경에 성동리와 강화 선정리에 새로운 나루터가 신설되면서 옛 나루터는 폐쇄되었다. 해방 후에는 옛 나루터 부근에 선박으로 자동차를 싣고 다니는 나루터가 생겼다. 1969년 강화대교가 건설되자 폐쇄되었다.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참조항목

강화읍, 월곶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