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동 이종석 별장

성북동 이종석 별장

[ 城北洞 李鍾奭 別莊 ]

요약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한말의 가옥. 1977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북동 이종석 별장

성북동 이종석 별장

지정종목 시도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7년 3월 17일
관리단체 대한예수교장로회덕수교회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지하 131 (성북동)
시대 대한제국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크기 면적 183평

1977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83평의 가옥이다.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서쪽 골짜기, 직사각형의 집터에 지어진 이 집은 서북쪽으로 드나드는 좁은 길이다. 조선시대에 새우젓 장사로 갑부가 된 이종석의 별장이었다고 한다.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의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1900년대에 지어진 이 집은 건평이 29.8평에 이른다. 이 집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3칸인 'ㄹ'자 모양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향집이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 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터 주위를 둘러막아 놓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일각대문과 그 바깥마당의 우물가 등은 집터 주위의 수목과 마당의 감나무, 소나무 등과 어울려 옛스런 멋을 나타낸다. 휘어져 하늘로 올라간 지붕과 처마, 그리고 마루로 통하는 미닫이문 창살도 한옥의 멋을 더해준다. 이 집은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집이라 할 수 있다.

참조항목

성북구, 성북동

역참조항목

성북로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성북동 이종석별장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한말의 가옥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조선시대에 새우젓 장사로 갑부가 된 이종석의 별장으로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서쪽 골짜기에 위치한다. 전통가옥의 가치가 인정되어 1977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의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1900년대에 지어진 이 집은 건평이 29.8평에 이른다. 이 집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이종석 별장집의 방향은 남향집이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 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터 주위를 둘러막아 놓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