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 全州 李氏 廣平大君派 墓域 ]

요약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조선시대 묘역. 1981년 2월 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지정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1년 2월 5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31길 20 (수서동, 산10-6, 산10-8, 산10-9, 산10-14)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크기 총면적 413,300㎡

1981년 2월 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체 면적 413,300㎡인 산에 광평대군 내외의 묘와 아들인 영순군(永順君)의 묘를 비롯해 광평대군의 양아버지인 무안대군(撫安大君) 방번(芳蕃) 내외의 묘 등 700여 기의 무덤이 있는 공동묘역이다.

광평대군 장의공(章懿公) 이여(李璵)는 1425년(세종 7)에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1432년에 광평대군에 봉해졌다. 1437년에는 조선 태조의 일곱째 왕자로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희생된 방번의 봉사손(奉祀孫)이 되었다. 광평대군은 활을 잘 쏘았으며 문장(文章)에 밝고 음률과 수학에도 뛰어나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았다.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신자수(申自壽)의 딸과 결혼하여 영순군을 두었으나 생선을 먹다가 걸린 가시 때문에1444년에 죽었다.

광평대군의 묘는 원래 지금의 강남구 삼성동 선릉(宣陵) 부근인 광주(廣州) 학당리(學堂里)에 있었는데, 이곳에 조선 성종의 능인 선릉이 들어서자 1495년(연산군 1)에 수서동 대모산 기슭으로 옮겼다. 이 묘역에는 오래된 종가재실과 신도비를 비롯해 숙종 때 조사한 분묘의 소재 위치를 기록한 세장비(世葬碑)가 있다. 이 묘역 일원은 서울 근교에 있는 왕손의 묘역 가운데 원래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참조항목

광평대군, 수서동

카테고리

  • > > >
  • > > >
  • > > >